2016. 9. 20. 10:48 프랜차이즈
프랜차이즈분쟁 갑질 횡포로 요즘 흔히 들려오는 갑질이란, 쉽게 말해 권력의 우위에 있는 갑이 권리관계에서 더 약한 쪽인 을에게 하는 부당한 행위를 뜻하는 말입니다. 이런 갑질은 시장에서 거래가 오가는 판매자와 소비자는 물론 사업자 간에서도 나타나는데요. 공정한 거래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에서는 다양한 거래사업법을 규정하고 있지만 이를 어겨 곳곳에서 프랜차이즈분쟁이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실제로 피자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A업체의 본사와 가맹점의 프랜차이즈분쟁은 A업체의 가맹점주협의회가 보도자료를 통해 본사의 '갑질 횡포'를 규탄하면서 빚어졌는데요. ㄱ씨 등 가맹점주 약 100여명은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가맹사업거래 분쟁조정 신청을 낸 적도 있을 만큼 갈등을 겪어 왔습니다. 가맹점주협..
2016. 8. 30. 14:30 프랜차이즈
가맹점계약 경업금지의무를 프랜차이즈 사업은 사업을 시작하기에 있어 접근성이 좋고, 초반 시장 진입에도 큰 어려움이 없이 뛰어들 수 있습니다. 이런 장점을 가지고 있는 프랜차이즈 사업은 다수의 창업자들에게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렇게 잘 알려진 부분만 감안하여 사업을 시작했다가 큰 낭패를 보는 분들도 있기 마련입니다. 가맹점계약을 할 때에는 먼저 계약서의 내용을 상세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업의 시작과 과정, 계약이 끝나고 나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불리한 조건으로 인해 가맹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가게를 차리려다가 본사로부터 소송제기를 당한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ㄱ씨는 프랜차이즈로 운영되는 기업형 한의원인 A한의원과 가맹점계약을 맺고 경기도 지역에서 ..
2016. 8. 25. 10:05 프랜차이즈
가맹사업법변호사 유리한 판결을 우리에게 잘 알려졌지만 회사 사정 등의 사유로 상호를 바꾸면서 그 사실을 알리기 위해 광고집행 등과 같은 수단으로 소비자들의 머릿속에 포지셔닝 하기 위해 노력하는데요. 이러한 상호변경은 장점이 될 수 있고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변경된 상호가 제대로 인지되지 않았다면 시장에 새롭게 자리잡기가 힘들 것이고, 오히려 그 전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없어질 수도 있는 양면성을 띄게 되는데요. 브랜드 인지가 수월할 경우는 상관이 없겠지만 프랜차이즈 업체에서 상호변경을 했을 때 본부와 사업자 간에 갈등이 일어나면서 가맹사업법변호사를 찾으시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금일은 가맹사업법변호사와 함께 편의점 명칭을 일방적으로 변경하면서 가맹본사와 가맹업주 간에 빚어진 소송 사례를 살..
2016. 8. 18. 09:49 프랜차이즈
프랜차이즈계약분쟁 가맹계약해지를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업계 대부분이 외식업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풍성한 먹거리로 메뉴 선택에 있어서 고민을 하기도 합니다. 음식을 고르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행복한 고민이겠지만, 가맹점사업자들은 수많은 경쟁사 가운데 자신들의 가게로 손님을 영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할 텐데요. 특히나 이런 면에서 프랜차이즈는 별도의 광고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맹본부에서 진행한 광고에 대한 비용을 가맹사업자들의 동의도 없이 분담시켰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와 관련된 가맹사업법에 대한 내용을 다룬 사례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베트남 음식 전문점 ㄱ사의 본사는 지상파 드라마에 간접광고를 하면서 든 비용 가운데 일부를 가맹사에 분담시키기로 하였고, 이로 인해 프랜차이즈계약분..
2016. 8. 13. 09:30 프랜차이즈
가맹계약분쟁 프랜차이즈사업에 편의점은 일반 마트와는 다르게 24시간 운영하고 있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러 회사에서 편의점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면서 최근 편의점 수가 크게 증가하였는데요. 회사마다 경쟁력을 위해 편의점 자체에서 PB 상품을 출시하거나 다양한 혜택을 내걸고 있습니다. 편의점이 증가한 만큼 가맹분쟁도 증가 추세에 있는데요. 이번에 소개하는 케이스는 편의점 프랜차이즈사업 가맹계약을 맺을 때 사기를 당하게 된 가맹사업자와 본사간의 가맹계약분쟁 사례입니다. 편의점 프랜차이즈사업을 하는 주식회사 A사는 직원 ㄱ씨로 하여금 가맹점 모집과 가맹계약을 체결하도록 직무를 담당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ㄱ씨는 ㄴ씨와 편의점 계약을 맺으면서 실제 가맹비는 5천만 원대였지만 거기에 ..
2016. 8. 8. 13:37 소개/언론보도
본사와 가맹사업자 사이에 체결되는프랜차이즈 가맹계약서,이런 부분 꼼꼼히 살펴야… 헤럴드경제 [11월 12일] 유앤아이파트너스 법률사무소 고한경 변호사 고한경 변호사는 가맹계약은 가맹본부가 가맹점 사업자로부터 대가를 지불 받는 대신 고유의 브랜드 가치나, 영업비밀을 허가해주는 계약이라고 강조하며 가맹계약을 체결할 때 실제로 생각지도 못한 부분에서 문제나 어려운 일이 일어난다면서, 되도록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쪽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습니다. ▶기사 원문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