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4. 6. 15:51 사회적 기업/공공구매
다방면으로 적극 참여 필요 사회적 기업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의 참여방법과 구매절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매절차는 총 네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구매 수요의 발생 공공기관에서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공공기관 우선구매 대상으로 할당하는 단계입니다. 공공기관은 위의 내용을 담은 구매계획을 작성하고 이를 고용노동부에 건네주게 됩니다.(각 단계별 시기는 이전 포스팅 참고) 2. 구매 대상 품목확인 공공기관의 구매 대상 품목확인 방법은 크게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화 등으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먼저 온라인입니다. 공공기관은 사회적기업 상품 소개 사이트(www.e-store365.or.kr)에 접속해 구매계획과 부합하는 제품이나 해당 분야의 사회적기업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기업입장에서..
2017. 4. 5. 13:44 사회적 기업/공공구매
판로개척 돕는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 사회적 기업의 난관 중 하나가 판로 개척입니다. 사회적 기업의 경우 자본의 규모가 비교적 적어 홍보 및 네트워크 구축에 어려움을 겪기 쉬습니다. 이로 인해 초기 판로 확장에 실패하면 이는 곧 경영상 적자로 이어지기 마련입니다. 정부는 사회적기업을 장려하기 위해 사회적기업육성법을 근거로 각종 세제햬택을 제공하는 동시에 판로 확보를 돕는 제도인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우선구매제도란 사회적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공공기관에서 우선적으로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시장 내에서 사회적 기업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공공기관의 정의는 글 하단 참조) 그 근거는 사회적기업육성법으로 해당 법은 '공공기관의 장은 사회적기업이 생산하는 ..